A. /usr/log B. /root/log C. /etc/log D. /var/log E. /log
✅ 정답: D
대부분의 로그(messages, secure, cron)는 /var/log에 저장됩니다.
5
파일 권한이 -rwxr-xr-x일 때, 8진수 표기법은?
A. 644 B. 600 C. 755 D. 700 E. 777
✅ 정답: C
rwx(7) / r-x(5) / r-x(5) → 755
-는 “일반 파일”을 의미하고, 뒤의 9자리(rwxr-xr-x)를 3자리씩 끊어서 봅니다.
권한의미숫자값
r
read(읽기)
4
w
write(쓰기)
2
x
execute(실행)
1
-
없음
0
⚠️ 실행 권한(x)은 파일에는 기본적으로 주지 않아요. 그래서 파일은 666, 폴더는 777이 기본입니다.
6
매일 새벽 3시에 /home/backup.sh를 실행하도록 설정하는 크론탭 문법은?
A. 3 0 * * * /home/backup.sh B. 0 3 * * * /home/backup.sh C. 0 0 3 * * /home/backup.sh D. * 3 * * * /home/backup.sh E. 0 3 1 * * /home/backup.sh
✅ 정답: B
순서: 분 시 일 월 요일
순서필드 이름의미예시
①
분 (Minute)
0–59
0
②
시 (Hour)
0–23
3 (새벽 3시)
③
일 (Day of Month)
1–31
1 (매달 1일)
④
월 (Month)
1–12
5 (5월)
⑤
요일 (Day of Week)
0–7 (0 또는 7은 일요일)
1 (월요일)
7
파일의 소유자 및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는?
A. chmod B. chown C. chgrp D. mv E. sudo
✅ 정답: B
A. chmod
change mode
파일의 권한(permission) 변경
chmod 755 script.sh → 실행권한 부여
소유자는 그대로 두고, rwx 권한만 조정
B. chown
change owner
파일의 소유자(owner) 또는 그룹(group) 변경
chown root:staff test.txt
✅ 소유자 자체를 바꿈
C. chgrp
change group
파일의 그룹만 변경
chgrp admin report.log
chown 중 :group 부분만 하는 것
D. mv
move
파일을 이동하거나 이름 변경
mv old.txt new.txt
권한, 소유자 변경과 무관
E. sudo
superuser do
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실행
sudo apt update
실제 변경 작업은 아님, 권한 상승 명령어
8
리눅스에서 환경 변수 PATH의 역할은?
A.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이름 저장 B.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검색 경로 지정 C. 현재 디렉토리 이름 저장 D. 홈 디렉토리 경로 저장 E. 터미널 언어 설정 저장
✅ 정답: B
PATH에 등록된 디렉토리에서 실행 파일을 검색합니다.
9
다음 중 프로세스 목록을 확인하는 명령어는?
A. top B. grep C. find D. chmod E. diff
✅ 정답: A
top은 CPU, 메모리 등 실시간 프로세스 상태를 표시합니다. grep: 텍스트에서 패턴 검색. 프로세스 목록이 아니라, 출력된 결과에서 문자열 찾을 때 ps aux | grep nginx처럼 조합해서 사용. diff: 두 파일의 차이 비교. 예: diff a.txt b.txt.
🔟
백그라운드에서 항상 실행되는 서버형 프로세스를 지칭하는 용어는?
A. 데몬(Daemon) B. 트리거(Trigger) C. 스레드(Thread) D. 태스크(Task) E. 커널(Kernel)
✅ 정답: A
예: sshd, httpd 등은 데몬 프로세스입니다.
A. 데몬 (Daemon)
백그라운드에서 항상 실행되며, 사용자의 명령 없이 시스템이 자동으로 운영하는 서버형 프로세스
- 부팅 시 자동 실행 - 항상 대기 중 - 요청 오면 처리
sshd (SSH 서버) httpd (Apache) crond (예약 작업)
B. 트리거 (Trigger)
특정 이벤트나 조건이 발생할 때 자동 실행되는 동작
- 평소엔 비활성 - 조건 만족 시 한 번 실행
DB의 AFTER INSERT 트리거 알람, 이벤트 처리
C. 스레드 (Thread)
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병렬로 실행되는 작업 흐름 단위
- 프로세스보다 가벼움 - 같은 메모리 공간 공유 - 병렬 처리 효율 ↑
웹 서버의 요청 처리 스레드 게임의 물리/AI 스레드
D. 테스크 (Task)
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작업 단위로, 프로세스나 스레드를 포괄하는 개념
- 실행 중인 프로그램 한 단위 - OS 스케줄러가 관리
윈도우 “작업 관리자(Task Manager)” 리눅스 “태스크 스케줄러”
E. 커널 (Kernel)
운영체제의 핵심(심장) 으로, 하드웨어와 응용프로그램 사이를 중개
- 메모리·파일·프로세스 관리 - 하드웨어 제어 - 사용자 직접 접근 불가
Linux Kernel Win
11
파일의 내용을 검색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?
A. head B. grep C. cut D. ps E. mv
✅ 정답: B
grep "error" access.log → "error" 문자열이 포함된 라인 출력
12
리눅스의 루트(root)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는?
A. /root B. /home C. /etc D. /usr/root E. /bin
✅ 정답: A
13
현재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는?
A. free B. df -h C. top D. du -s E. ls -lh
✅ 정답: B
df -h는 전체 디스크 사용률을 “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”로 표시합니다.
free
메모리(RAM) 사용량 확인
free -h → 전체/사용/가용 메모리 표시
🔹 -h: 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(GB, MB) 🔹 -m: MB 단위 표시
시스템 메모리 상태 확인용 (현재 RAM 얼마나 쓰는지)
df -h
디스크 전체 용량 및 사용률 확인
df -h → 각 파티션의 전체 용량, 사용량, 남은 공간 표시
🔹 -h: human-readable, MB/GB 단위 🔹 -T: 파일시스템 유형 표시
전체 디스크 기준 사용량 확인 (file system 단위)
top
실시간 프로세스·CPU·메모리 사용량 모니터링
top → CPU %, MEM %, PID, 실행 시간 등 표시
🔹 q: 종료 🔹 Shift + P: CPU 순 정렬 🔹 Shift + M: 메모리 순 정렬
실시간 모니터링 도구 (시스템 리소스 관찰용)
du -s
특정 디렉토리 또는 파일의 용량 확인
du -sh /var/log → /var/log의 총 용량 표시
🔹 -s: 요약(summary) 🔹 -h: 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
부분(폴더 단위) 디스크 사용량 확인
ls -lh
파일 목록 및 크기(단위 포함) 표시
ls -lh /home/user
🔹 -l: 상세 목록 🔹 -h: 사람이 읽기 쉬운 단위
현재 폴더의 파일 크기와 속성 확인
14
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하는 명령어는?
A. useradd B. adduser C. passwd D. sudoadd E. mkuser
✅ 정답: A
useradd testuser
15
파일을 5분마다 자동 실행하도록 하는 크론탭 설정은?
A. */5 * * * * B. * 5 * * * C. 5 * * * * D. 0 5 * * * E. * * 5 * *
✅ 정답: A
*/5 → 5분 간격으로 실행
16
chmod 644 test.txt 실행 후 권한은?
A. rwxr-xr-x B. rw-r--r-- C. rw-rw-r-- D. r--r--r-- E. rwxrw-r--
✅ 정답: B
17
다음 중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되는 프로세스 관리 도구는?
A. init.d B. cron C. systemctl D. rc.local E. systemd
✅ 정답: E
현대 리눅스는 systemd가 init 프로세스를 대체합니다.
systemd
현대 리눅스의 부팅·서비스 관리 시스템
systemctl, journalctl
✅ 현재 표준
init.d
과거 SysVinit 방식 서비스 관리 디렉토리
/etc/init.d/sshd start
⚠️ 구형 방식
cron
주기적 작업 예약 데몬
crontab -e
✅ 현재도 사용
systemctl
systemd 제어 명령어
systemctl start nginx
✅ 함께 사용
rc.local
부팅 후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 실행
/etc/rc.local
⚠️ 구식 (일부만 지원)
18
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을 텍스트로 출력하는 명령은?
A. ps aux B. top -n C. logctl D. runlist E. pidlist
✅ 정답: A
ps aux는 모든 사용자 프로세스 목록 출력
19
현재 로그인 중인 사용자를 확인하는 명령어는?
A. hostname B. whoami C. env D. su E. echo $USER
✅ 정답: B
whoami → 현재 사용자 이름 출력
hostname
현재 시스템(컴퓨터)의 호스트 이름 출력
hostname → server01
서버 이름 또는 네트워크 식별용 호스트명을 보여줍니다. ✅ 시스템 단위 정보 (사용자 아님)
whoami
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이름 출력
whoami → user01
“내가 누구로 로그인했는가?” 확인할 때 사용. ✅ 현재 세션의 사용자 정보
env
현재 환경 변수(Environment variables) 전체 출력
env → PATH, HOME, SHELL 등 목록 출력
시스템 환경 설정값들을 한꺼번에 보여줍니다. ✅ 로그인 세션 환경값 확인용
su
다른 사용자로 전환(Switch User)
su - root → root 사용자로 전환
“Switch User”의 약자. 관리자(root)나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할 때 사용.
echo $USER
$USER 환경 변수의 값을 출력
echo $USER → user01
whoami와 비슷하지만, 환경 변수 값을 표시합니다. ✅ 쉘 변수 기반 정보
20
리눅스에서 로그인이 실패한 기록을 확인하려면 어느 파일을 확인해야 하는가?
A. /var/log/messages B. /var/log/secure C. /etc/passwd D. /var/log/cron E. /etc/security
✅ 정답: B
/var/log/secure에는 인증/로그인 관련 로그가 저장됩니다.
/var/log/messages
일반 시스템 로그 (종합 로그)
커널, 시스템 서비스, 네트워크 등 모든 일반 메시지 기록
tail -n 20 /var/log/messages → 최근 시스템 동작 요약
/var/log/secure
보안 및 인증 로그
SSH 로그인, sudo, su 등 인증 관련 이벤트 기록
grep "sshd" /var/log/secure
/etc/passwd
사용자 계정 정보 파일
시스템의 모든 사용자 목록 / UID / 홈 디렉토리 / 기본 셸 등
cat /etc/passwd → 사용자 계정 정보 확인
/var/log/cron
크론(cron) 실행 로그
예약 작업(crontab) 실행 내역 기록
tail /var/log/cron → 예약 작업이 실행되었는지 확인
/etc/security
보안 설정 디렉토리
PAM(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) 및 로그인 제한 설정 파일 포함